본문 바로가기

가슴으로쓰는편지

노진규에게

 

 

 

노진규에게/비(Rain)

 

 

22살 꽃다운 나이에 암에 걸려서

소치올림픽에도 못 나가고 병상에 누워 티비로 동료들의 경기를 지켜봐야만 하는 네 마음은 오죽하겠니.

세상엔 건강보다 더 중요한건 없다.

왜냐면 건강을 잃으면 다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우린 그렇게도 한치 앞을 내다 보지 못하는 한심한 인생이란다.

그런데도 건강한 것을 감사하지 못하고 겸손하지도 못하고 교만이 극에 달아 큰소리치며 오만방자하게 살아간다.

진규야!

사람은 누구나 한평생 살아 가면서 죽는날까지 수 없이 고난의 터널을 지난다. 

중요한 것은 어떤 고난을 당하고 있느냐가 아니고 그 고난을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가 중요하다.

어떤 사람은 견디지 못하고 포기해서 패인이 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절대 포기하지 않고 오뚜기 처럼 우뚝 일어서 고난을 이기고 더 나은 미래로 나가는 사람이 있다.

내가 살아 보니까 고난은 포기하지 않고 잘 참고 견디면 다 지나 가더라.

절대포기하지 말고 잘 치료하고 재활을 해서 평창에서 금메달을 따자구나.

그땐 지금 고난과는 족히 비교할 수 없을 정도를 영광이 너를 기다리고 있을거야.

"나는 치료 받을수 있어 나는 다시 스케이트를 싣고 꼭 금메달을 딸거야" 라는

늘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치료 잘 받기 바란다.

노진규 화이팅!

"국민 여러분 기뻐해 주십시오

노진규 선수가 암을 극복하고 평창에서 전 종목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이렇게 중계방송 아나운서의 흥분되고 격양된 목소리를 들을 날을 기다리자구나.~~!!

나는 그 꿈이 현실로 꼭 이루어 지리라 믿는다.

 

너를 위해 기도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과

눈물 흘리고 계시는 엄마 아버지를 꼭 기억하라~

-------------------------------- 

[소치]'항암치료'노진규 부모님의 눈물"내아들 진규는

그때 운동을 그만두게 했더라면, 내 아이의 병을 일찍 알았더라면.
'~했더라면', '~할 걸', 뒤늦은 회한이 하루에도 열두번씩, 애꿎은 부모의 가슴을 짓누른다.

"중학교때 (노)진규가 대퇴부를 크게 다친 적이 있다. 펜스에 부딪히는 모습이 가슴아팠다.

그때 운동을 못하게 했어야 하는데…." 노진규 어머니 송소저씨의 눈가가 빨개졌다.

소치 하늘 아래 얼음과 싸워야 할 아들은 지금 서울 공릉동 원자력병원에서 어깨위 암세포와 치열한 전쟁을 펼치고 있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노진규가 11일 서울 공릉동 원자력병원 병실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소치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팀 멤버였던 노진규는 지난 1월 훈련 도중

뼈암의 일종인 골육종이 발견돼 제거 수술을 받고 현재 항암 치료 중이다.

 

◇고단한 삶에서 늘 힘이 돼줬던 기특한 아들의 골육종, 암 선고에 부모의 가슴은 무너져 내렸다.

11일 서울 공릉동 원자력병원에서 만난 노진규의 아버지 노일환씨와 어머니 송소저씨는

"부족한 부모로서 아들에게 미안할 뿐"이라며 연신 눈물을 훔쳤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노진규는 누나 노선영을 따라 초등학교 2학년때 스케이트를 신었다.

아버지 노일환씨는 IMF 한파로 가세가 기운 후 줄곧 일용직으로 일해왔다.

아이들 뒷바라지를 위해선 막노동, 잡일, 손에 잡히는 일이면 뭐든지 해야 했다.

어머니 송씨도 식당일에 나섰다. 넉넉지 못한 가정형편에서도 아이들은 신나게 얼음을 탔다.

노진규는 지독한 노력파였다. 새벽 4시 반 "진규야!" 이름만 불러도 눈을 반짝 떴다. 잔소리 한번 한 일이 없다.

누나 노선영은 고1때, 동생 노진규는 고3때 태극마크를 달았다.

대한민국 최고선수로 자라났다. 있는집 아이들이 200만원짜리 자전거를 탈 때, 아이들은 15만원짜리 자전거를 타야 했다.

"자전거 뒤에 타이어를 달고 달리면 자전거가 휘어지더라"고 투덜대긴 했지만, 원망하진 않았다.

3년만에 돈을 모아 100만원짜리 중고 조립자전거를 태릉선수촌에 들여보내던 날, 부모도 아이들도 행복했다.

과묵한 아들 노진규는 가끔 "엄마, 내가 성공해서 집도 사주고 차도 사줄게"라는 든든한 약속으로 부모를 기쁘게 했다.

스스로 잘 자라준, 기특한 남매는 부모의 자랑이었다.

고단한 노동, 힘겨운 삶 속에서도 트로피만 보면 세상 시름이 걷혔다.

"그게 우리의 낙이었죠." 아버지 노일환씨가 눈물을 글썽였다.

"부모로서 우리는 늘 고맙고, 미안했어요. 애들이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부모로서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지난 10년간 가족은 꿈을 향해 달리고 또 달렸다.

그러나 운명은 잔인했다. "세상이 참 마음대로 안되는 거네요.

두 아이가 함께 소치올림픽 출전권을 따내고 이제야 좀 살 만하구나 안도하는 순간 이런 일이…." 노씨가 고개를 떨궜다.

처음엔 자란 혹을 잘라내는 시술로 생각했다.

수술실에 들어간 지 1시간 반쯤 흘렀을까. 의사가 '보호자'인 어머니를 수술실로 호출했다. '

악성종양' '암'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어머니는 그만 정신이 아뜩해졌다. "다리가 후들거렸다"고 했다.

4시간 대수술 후 마취에서 깬 아들은 "수술이 잘 됐느냐"고 물었다.

어머니는 말없이 고개만 끄덕였다. 차마 진실을 알려줄 용기가 나지 않았다.

담당의사는 냉정했다. "악성종양, 골육종입니다." 노진규는 물었다.

"엄마, 나 죽는 거야?" 소년은 그렇게 꼬박 하루를 울었다. 그리고 더 이상은 울지 않았다.

소치동계올림픽이 개막하던 8일 노진규는 항암치료를 시작했다.

병실에서 동료들의 경기를 빼놓지 않고 지켜보고 있다.

고통스러운 항암치료, 며칠새 먹은 것도 없이 수십번을 토했다.

구토를 하면서도 리모컨을 놓지 않았다.

10년을 꿈꿔온 올림픽, 어깨에 13㎝ 혹을 매달고도 포기할 수 없었던 그 무대다.

9일 누나 노선영의 스피드스케이팅 3000m 경기를 기다렸다.

중계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낙담했다. TV를 꺼버렸다. 10일 밤 남자쇼트트랙 1500m는 노진규의 주종목이었다.

2011년 노진규가 수립한 세계최고기록을 지난 3년간 아무도 깨뜨리지 못했다.

노진규는 이한빈, 박세영, 신다운 등 동료들을 플레이를 직시했다.

 

◇치료비 지원을 위해 병실을 찾은 정정택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은 노진규에게 "꿈을 잃지말라"고 격려했다.

공단은 체육인 복지사업 운용 규정에 의거, 최대 5000만원 한도에서 노진규의 치료비를 지원한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4.02.11/

11일 정정택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이 5000만원의 치료비를 지원하기 위해 노진규의 병실을 찾았다.

"꿈을 놓으면 안돼, 어떤 상황에서도 꿈을 놓지 않으면 반드시 꿈을 이룰 수 있어.

노진규! 이번 한번만 쉬는 거야"라는 격려에 "예!"라고 큰소리로 답했다.

"필요한 것이 없냐"는 질문에 고개를 가로저었다. 빠듯한 형편속에 두다리만 믿고 여기까지 달려왔다.

자존심 센 '상남자' 노진규는 아무리 힘들어도 아픈 척, 약한 척하고 싶지가 않다.

 

쇼트트랙 대표팀 노진규는 항암 치료중에도 대표팀 동료들의 경기를 빼놓지 않고 지켜보며 마음을 다해 응원하고 있다.

왼손잡이 노진규가 병상에서 대표팀 동료들의 선전을 기원하며 오른손으로 꾹꾹 눌러쓴 메시지.
'왼손잡이' 노진규는 오른손 쓰는 법을 배우고 있다. 왼쪽어깨와 왼팔골절 수술로 왼손을 쓸 수 없다.

정성을 다해 오른손으로 대표팀 동료들을 위한 응원 메시지를 꾹꾹 눌러썼다.

'1500m는 운이 많이 안따라 준 것같아.

아직 남은 경기가 많이 있고 단체전인 계주가 남았으니까 부담 갖지 말고 늘 연습해오던 대로 자신감 있게 경기해줬으면 좋겠어.

서로서로를 믿고 돌아오는 비행기에서는 모두 웃으면서 돌아왔으면 좋겠어.

여자들도 긴장하지 말고 해오던 대로만 하면 정말 좋은 결과가 나올 것 같으니까 마지막까지 화이팅하자!'

노진규의 마음은 소치 하늘 아래 동료들과 함께 있었다.

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4.02.11/(다음에서 펌글)

 

 

'가슴으로쓰는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트 데이  (0) 2014.03.14
동훈이와 함께  (0) 2014.03.04
설 명절  (0) 2014.01.29
1월의 편지  (0) 2014.01.09
새해 인사  (0) 2013.12.31